vSphere 5.0 설치하기
- 꼬반
- 2015. 6. 10. 14:28
====== Install esxi 5.0 ======
vmware에서 evaluation license 획득 후 vsphere 5.0 버전을 다운로드 한다.
이미지 형식으로 서버에 설치 후 해당 서버의 ip로 브라우저에서 접속하면
client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설치할 수 있다.
이 client 로 vsphere 서버를 사용할 수 있다.
====== Guest os install - dhcp, nat config ======
vSphere 에서는 NAT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
때문에 guest os 가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dhcp, nat 설정이 필요하다.
dhcp, nat 역할을 할 guest os 는 nic를 2개를 설정해야 한다.
1개는 공인 ip, 다른 1개는 내부 ip로 dhcp, nat 기능을 담당한다.
이미지로 구조를 살펴 보면 아래 그림과 같다.
VM0는 두개의 nic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공인 ip / 다른 하나는 내부 ip 이다.
이 구조를 vSphere 에서 설정하면 아래와 같다.
네트워크 가상화를 통해 2개의 스위치를 가상화 한다.
즉 VM0를 통해 VM1, VM2는 자동으로 ip를 할당 받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VM0에 dhcp, nat 설정을 해줘야만 한다.
0. NAT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code>
# echo 1 > /proc/sys/net/ipv4/ip_forward
재부팅에도 1을 가지려면
# vi /etc/sysctl.conf
에서 net.ipv4.ip_forward = 1
로 변경한다.
vi를 열고 수정하고 저장하기 귀찮다면.
# find /etc -type f -name "sysctl.conf" -exec perl -pi -e "s/net.ipv4.ip_forward = 0/net.ipv4.ip_forward = 1/g" {} |;
</code>
1. dhcp 설정 시 유의사항
vm0 의 eth0는 공인 ip로 설정
eth1 는 내부 ip로 설정 / 이때 eth1 의 default gateway는 eth0의 ip로 설정
이후 dhcp 설정에서 option routers 설정에서 자동으로 ip를 할당받는 guest os 의 defalut gateway 는 vm0의 eht1 ip로 셋팅 한다.
예)
vm0 eth0
ip : xxx.xxx.xxx.xxx
vm0 eth1
ip : 192.168.1.1 (1이 아닌 다른 ip주소도 가능하다. 다만 그런경우 dhcpd 설정에서 routes의 ip도 동일하게 변경 해줘야 한다.)
gateway : xxx.xxx.xxx.xxx
dhcpd.conf 설정
subnet 192.168.1.0 netmask 255.255.255.0 {
option routes 192.168.1.1;
}
$ service dhcpd start
$ chkconfig dhcpd // 자동으로 재시작
정상적으로 실행이 된다면 vm1, vm2 에서 192.168.1.x 대역의 ip를 자동으로 할당받게 된다.
2. nat 설정
리눅스에서의 nat 설정은 대부분 iptables 를 사용하며, 정확하게는 SNAT, DNAT 가 있다.
SNAT는 내부에서 외부로 DNAT는 외부에서 내부로 의 사용이다.
인터넷만 사용하기 위해서는 SNAT 설정으로 충분하지만
guest os 에서 web이나 기타 service 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DNAT 설정도 추가해줘야한다.
$ iptables -P INPUT ACCEPT
$ iptables -P FORWARD ACCEPT
$ iptables -P OUTPUT ACCEPT
$ iptables -F
$ iptables -t nat -F
$ iptables -t mangle -F
$ iptables -t nat -X
$ iptables -t mangle -X
$ iptables -t nat -A POSTROUTING -o eth0 -j SNAT --to xxx.xxx.xxx.xxxx
$ service iptables save
$ service iptables restart
이제 VM1, VM2에서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DNAT config for VM Web Service ======
$ iptables -A PREROUTING -t nat -p tcp -d xxx.xxx.xxx.xxx --dport 80 -j DNAT --to 192.168.1.10:80
$ service iptables save
$ service iptables restart
DNAT config complete!
xxx.xxx.xxx.xxx 서버의 80 port 로 들어오는 요청을 192.168.1.10 의 80 port 로 라우팅 해준다.
192.168.1.10 서버에서는 80 port 요청을 처리 할 수 있는 서비스 (apache etc..) 가 동작하고 있어야 한다.
====== ex. 한글 입력 사용하기. ======
게스트 OS에서 한글 입력이 안 먹을 경우
rpm -qa | grep ibus
cent os 6.0 이상에서 부터는 ibus 로 입력기가 변경되었음
System -> Preferences -> Input Method -> Enable input method feature (활성화)
-> Use IBus (선택) -> Input Method Preferences... -> Input Method (탭) -> Select -> Korean -> Korean -> Add
이후 사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