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dadm --examine --scan >> /etc/mdadm.conf 2. mdadm --assemble --scan /dev/md0 3. cat /proc/mdstat 4. mount
NIC명 변경하기. CentOS 7 버전 (Kernel 3.x 이상) 에서는 네트워크 장치명이 기존의 eth가 아닌 eno 혹은 임의의 장비명이 자동으로 부여된다. 이 부분을 기존처럼 eth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grub 파일을 수정후 리빌드 해야 한다. 출처 : http://linux.systemv.pe.kr/centos-7-%EC%97%90%EC%84%9C-%EB%84%A4%ED%8A%B8%EC%9B%8C%ED%81%AC-%EC%9D%B8%ED%84%B0%ED%8E%98%EC%9D%B4%EC%8A%A4-%EC%9D%B4%EB%A6%84-%EB%B0%94%EA%BE%B8%EA%B8%B0/ 방법은 위 포스트와 같고 간략하게 정리한다. #vim /etc/default/grub GRUB_CMDLINE_LINU..
1. MegaCli 사용 (다만 모두 이걸로 확인 되지는 않는다.)http://sarepos.cpanel.net/centos/7/noarch/위 경로에서 MegaCli-8.07.14-1.el7.centos.noarch.rpm 다운설치 후 /opt/MegaRAID/MegaCli 이동 ./MegaCli64 -LDInfo -Lall -aAll 로 확인 할 수 있음 RAID Level : Primary-1, Secondary-0, RAID Level Qualifier-0 부분에서 Primary-1 이 레이드 레벨이다. 기타 유용한 명령어 출처 http://coffeenix.net/board_view.php?bd_code=1724 물리적 디스크 정보./MegaCli -PDList -aALL 논리적 디스크 정보./..
전 포스팅에서 순서대로 개발 환경을 셋팅하셨다면 아래와 같이 Ctrl+N을 눌렀을때 아래와 같은 프로젝트를 찾을 수 있습니다. Spring Template Project 를 선택하면 다시 아래와 같은 Templates 가 나옵니다. 여기서 우리가 선택해야 하는 것은 Spring MVC Project 입니다. 템플릿을 통해 프로젝트를 생성하시면 일일히 설정파일이나 폴더, 기타 플러그인등을 직접 설정하지 않아도 Maven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셋팅 되므로 아주 편리하게 개발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기본적은 백그라운드 지식은 습득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또한 다른 프로젝트들과는 다르게 Spring MVC Project에만 화살표가 없는것은 해당 프로젝트에 관련덴 설정 및 플러그인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처음..
메이븐과 스프링 기반의 이클립스 개발환경 셋팅하는 방법을 정리하여 포스팅 합니다.해당 환경의 목표는 Eclipse Indigo + Tomcat 7.0.26 + 스프링 MVC + maven 이며, 아래 내용은 다음 블로그에서 가져왔습니다.출처 : http://springmvc.egloos.com/429363 이 세팅은 가난한 개발자들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기본포맷이다. 이 세팅 그대로 서버에 업로드 할 수도 있고, maven을 활용해 개발해놓은 자료들을 jar로 압축하여 심플하게 서버에 업로드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개발환경 구축에 있어서 스프링을 활용하고, maven으로 버전관리를 함과 동시에 다양한 자바 오픈소스들을 최신버전으로 유지하고 싶다면 필수적으로 위의 구축환경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사실..
mod_proxy 를 이용한 연동 방법 아파치 80 톰캣 8080로 동작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ProxyPass 를 VirtualHost 에서 설정하여 준다. tomcat으로 넘길때 ajp, http 소켓을 선택해서 프록시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이때 Document Root 는 무의미 하다. http 소켓으로 선택할때 또한 포트와 rewriterule 에 documentroot 처럼 대상 webapp 를 설정하고 pass 부분에는 뒤에 꼭 / 을 적어야만 한다.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1. 제일 먼저 Database 환경을 확인해봐야 한다. show variables like 'c%' 모든 character set이 동일해야 한다. 2. 1의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jsp/java/html 페이지의 context type 과 charset / 문서타입을 일치 시킨다. (UTF-8 / EUC-KR)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pageEncoding="UTF-8"% meta http-equiv="Content-Language" content="ko"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3. 모두 일치 시켰다면 post 한글 깨짐을 방지 하기 위해 requ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