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 환경 : vSphere 5.5장애 이유 : esxi 호스트 리부트 후 disk description 파일인 vmdk 파일이 보이지 않음. 때문에 해당 vm을 켤 수 없는 상황 (error 18) 복구 방법 : https://kb.vmware.com/selfservice/microsites/search.do?language=en_US&cmd=displayKC&externalId=1002511 해당 datastore 에 접속하여 cli로 작업 # ls -l target-flat.vmdk vmdk size nnnnnnn # cat target.vmx scsi0.virtualDev = "type" # vmkfstools -c nnnnnnn -a type -d thin temp.vmdk # rm -i tem..
header cache controlhttps://www.joinc.co.kr/w/man/12/nginx/static header HSTS (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 Confighttps://www.nginx.com/blog/http-strict-transport-security-hsts-and-nginx/
참고 : http://serverfault.com/questions/511109/nginx-local-fallback-error-page-if-proxy-destination-is-unavailable Nginx 에서 리버스 프록시 설정을 하여 사용할때 에러 페이지의 경우는 Nginx 설정이 아닌 프록시 서버의 설정을 따르게 된다. (Nginx - Tomcat 설정인 경우 Tomcat 에러 페이지가 노출) 이때 Nginx 에서 에러 페이지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옵션을 함께 사용하면 된다. (Server 블록 내에서 사용) server { ... location / { proxy_intercept_errors on; proxy_pass http://localhost:8080/; } error_page..
개발을 할때 팀이나 조직에서 사용하기 좋은 오픈소스 https://repo.yona.io/organizations/yona-projects 과거 Yobi가 업그레이드 되었다고 한다. 팀에서 사용하기위해 셋팅해보았다. 추후 사용기를 적어보도록 하겠다.
설치 및 구축 프로세스 마스터 노드, 워커 노드 셋팅 VM에 마스터 노드, 워커 노드 2대 생성 후 CentOS 7.2 설치 설치 후 각 서버는 selinux 설정을 permissive 로 변경 워커 노드는 firewalld.service 를 stop 및 disable 시킴 마스터 노드에 eth0, eth1 connection 설정 각 서버 네임서버 셋팅 (210.218.222.100) dhcpd 설치 및 셋팅 (yum 으로 설치 후 아래처럼 dhcpd.conf 수정) option space PXE; option PXE.mtftp-ip code 1 = ip-address; option PXE.mtftp-cport code 2 = unsigned integer 16; option PXE.mtftp-spor..
사용기라고 할 정도의 거창한 내용은 아니다. 그동안 사용하던 무선랜 USB타입은 저가의 옛날 제품이라 5G 대역을 사용하지 못하여서 2만원 중반대로 무선랜카드를 찾아보니 위 제품을 찾게됬다. EFM ipTIME A2000U USB 3.0 인데 제품평을 살펴보니 동작이 좀(이라 쓰고 매우) 불안한 점이 있다는 평이 많았다. 그중 한 사용자가 남긴 댓글을 보고 일단 구매를 했다. 비슷한 증상 중 위 사용자는 설정의 변경 후 동작이 안정되었다고 하여 오늘 바로 배송 후 테스트 해보았다. 드라이버는 바로 설치되었으나 다른 사용기처럼 매우 증상이 불안하였다. 사용 하지 않음으로 변경된다거나 무선네트워크가 정상동작하지 않는 현상 등 .. 하지만 굴하지 않고 위 방법을 적용해보았다.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어탭터..
요즘 약간~ 시간이 남아서 배포용으로 블로그 스킨을 하나 만드는 중입니다. 처음에는 티스토리를 어떻게 한번 새로운 기술로 만들수 있을지 않을까 이리저리 테스트 해봤는데.. 안되겠더군요.. 그래서 그냥 심플하고 깔끔하고 가벼운 스킨을 목표로 손보는 중입니다. 오늘부터 만들기 시작한거라 주말엔 못하고 어느정도 완성은 다음주 화요일이면 되지 않을까 시포요.. 미리보기 : http://ggoban.tistory.com
요즘엔 개발언어들을 사용하다보면 제일먼저 찾는게 버전관리매니저와 보일러플레이트다. 과거처럼 하나하나 개발환경을 직접 세팅할 수도 있지만 그러기에는 버전업이 빠르고 새로운 기능들이 추가되는 속도가 빠른 요즘에는 기존과 같은 방법으로는 개발환경의 버전을 올리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버전관리매니저를 사용하면 쉽게 개발언어의 버전을 관리하기가 용이하다. 대표적으로 Node.js 같은 경우 NVM 을 사용하면 되듯이 Golang 도 찾아보니 GVM이라는 버전관리매니저가 나와있다. 참조 : https://github.com/moovweb/gvm 사용법은 nvm 과 흡사하다. 설치 : bash <
웹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서버의 로그를 수집하고 모니터링을 하는 부분이 매우 중요해진다. 그런데 로그를 살펴보면 각종 검색엔진의 crawler로 인해 로그가 고통받는걸 볼 수 있다. (어디가든 bot 이 문제야! ㅠㅠ) 그래서 이 bot 들의 로그를 남기지 않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여 주면 된다. 참조 : https://bjornjohansen.no/exclude-requests-from-nginx-access-log map $http_user_agent $log_ua { ~Pingdom 0; ~Googlebot 0; ~Baiduspider 0; default 1; } server { […] access_log /var/log/nginx/access.log main if=$log_ua; }user..
일반적으로 Tomcat을 사용하여 Virtual Host 설정을 하게되면 해당 Virtual Host 의 access log 를 Tomcat의 org.apache.catalina.AccessLog 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기본 옵션의 상태로 저장되는 log 의 형태는 prefix + timestamp + suffix 형태가 된다. 이때 중간에 들어가는 timestamp 로 인해 일반적인 다른 로그 프레임워크와는 결과값이 다르게 된다. A : service.access.log / service.access.log-YYYYMMD(D-1) Tomcat default : service.access.YYYYMMDD.log / service.access.YYYYMMD(D-1).log 위와 같은 차이가 발생한다. 이..